북방(변방)가까이에 점을 잘 치는 늙은이에게 말이 한마리 있었어요.
하루는 그의 말이 아무 이유도 없이 도망쳐 오랑캐들이
사는 국경을 넘어가버렸다.
마을 사람들이 찾아와 위로하자 그가 말하길“이것이 오히려 복이 될지 알겠소? ”
그럭저럭 몇 개월이 지난 뒤 어느 날 뜻밖에도 도망갔던
말이 오랑캐의 좋은 말 한필을 데리고 돌아 돌아온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은 모두 찾아와서 횡재를 했다며 축하해주었습니다.
그러자 이 영감은 또 “이것이 화가 되지 말란법이 있겠소?“
라며 조금도 기뻐하는 기색이보이질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집에 좋은 말이 하나가 더 생겨나자 전부터 말
타기를 좋아했던 그의 아들이 데려온 말을 타고 들판을
달리다가 그만 말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다리를 크게 다치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사람들이 또 몰려와“아들이 다리를다쳐서 어떻게
하면 좋으냐.“며 위안을 하였습니다.
그러자 새옹은“그것이
또 복이 될줄 누가 알겠소? 하며 담담한 표정을 지었습니다.
그런 일이 있은 후 몇 년이 지나서 오랑캐들이 국경을
넘어서 대규모의 침약을 감행하여 왔습니다.
젊은 청년들은 모두 징병에 뽑혀 전쟁터로 나가 적병과
싸워야하는 처지가 되어 열에 아홉은 목숨을 잃고 전사
하는 지경이었는데 유독 이 새옹의 아들만은 다친 다리
때문에 징병을면하여 살아남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새옹지마의 사례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라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자기의 형편이 조금 좋아졌다고 해서 본분을
망각하고 경거망동해서도 안 되고,반대로 조금 어려움에
처했다고 해서 죽게 된것처럼 절망하고 실의에 빠져서도
안 된다는이야기입니다.
인간 백년을 살다보면
슬프고 기쁜 희로애락이 있는
법이니 잘 참고 살라는 뜻 에서 인간만사는
새옹지마라 말을 하는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