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2006.09.01 16:23

인터넷 기사를 보고

조회 수 23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다음에 올라온 인터넷 기사인데 옮겨봅니다.
                         ************************************

美연구팀, 말기 암환자 유전자요법 치료 2명 완치시켰다


(::‘시한부 판정’ 받고 시술 1년반만에 종양 소멸::)

암과 면역체계 이상에 대해 연구해온 미국 연구팀이 말기 암환자 2명을 유전자 요법으로 치료하는 데 사상 최초로 성공, 암 정복의 꿈에 한발 다가섰다.

월스트리트저널, CNN방송 등 미국 언론들은 암 치료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이라며 크게 보도했다.

스티븐 로젠버그 박사가 이끄는 미 국립암연구소(NCI) 연구팀은 암의 일종인 멜라노마(흑색종)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유전적 결 함이 있는 면역세포를 떼어낸 뒤 정상으로 ‘교정’된 세포를 이식하는 치료를 진행했다. 이 환자들은 면역세포인 T킬러세포를 갖고 있지만 면역세포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T세포 수용체가 없어종양이 생긴 말기 암환자들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서 T세포를 떼어낸 뒤 T세포 수용체와 유전적 으로 접합시켜 다시 환자에 이식했다. 그 결과 53세의 한 남성 환자는 간의 종양이 89% 줄었고, 시술한 뒤 1년반이 지난 현재는 암 완치단계에 이르렀다. 이미 병원에서 시한부 판정을 받고 폐 한쪽을 잘라낸 또다른 남성 환자는 종양이 완전히 사라졌다. 이임상치료 결과는 과학전문저널 사이언스 31일자에 공개됐다.

로젠버그 박사는 유전자요법의 선두주자로, 면역체계 이상으로 인한 암 연구에 유전자 치료를 접목하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1985년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결장암 수술을 집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현재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유전자 치료에 관 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미 필라델피아 아동 병원과 스탠퍼드대 공동연구팀이 혈우병 환자를 치료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단 하나의 유전자가 돌연 변이로 이상을 일으켜 질병이 생긴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복잡한 기제로 발병하는 환자들을 치료하기에는 역부족이 었다.

반면에 로젠버그 박사의 이번 연구는 더 복잡한 기제를 거쳐 발병하는 종양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97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이자 분자면역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인 캘리포니아공과대학 데이비드 볼티모어 교수는 월스트 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로젠버그팀의 연구는 기존 치료법으 로 효과를 거두지 못한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유전자 치료의 길을 연 것”이라며 앞으로의 연구 확대에 큰 도움이 될 인상적인 결과를 내놨다고 높이 평가했다.

물론 로젠버그 박사팀의 연구 성과는 완전한 것이 아니다. 첫째, 17명의 치료 대상자 중 2명만이 효과를 봤기 때문에 치료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둘째, 완치된 두 환자는 아직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경우에 따라 폐렴 같은 극심한 부작용을 일으켜 환자가 사망하게 만들 수도 있다.

연구팀은 당초 목표했던 것보다 T세포 수용체를 접합해 만든 세 포의 면역 기능이 약했거나, 혹은 이식한 유전자변형 T킬러세포 가 환자 체내의 다른 수용체들과 마찰을 일으켜 기능이 약화돼 치료율이 낮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NCI는 향후 유전자요법의 치료율과 안전성을 높이고 다양한 종류의 암에 확대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구정은기자 koje@munhwa.com

  [ 기사제공 ]  문화일보   |   문화일보 기사보기
                *******************************************

아마도 이상구 박사님의 강의를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라면 이 기사를
보고 획기적인 기사다 라고 생각할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나 이 곳에 오시는 분들은 이미 이박사님 강의를 어느 정도 들었기 때문에
이런 기사가 그렇게 새로운 뉴스가 아닌거 처럼 느껴집니다.
왜냐면 우린 이미 이박사님을 통해 누누히 들었던 얘기 이기 때문이죠.
암은 유전자의 변질로 생기고 지금 많은 과학자나 의사들이 이 유전자에 대한
연구를 하기 시작해서 유전자 요법으로  발생된 암은 없앨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강의를 여러번 들었기 때문이죠. 그러나 이박사님 말대로 설사 저렇게 그 발생부위에
생긴 암덩어리만 유전자로 대체요법으로 없앤다 해도 박사님 말씀대로 생활습관이
바뀌지 않고 뜻이 바뀌지 않는다면 또 다른 부위에 암이 발생할 수도 있다 라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해 보게 됩니다.
80년대 뉴스타트의 센세이션을 일으키신 이박사님이 지금도 여전히 항상
앞서가시는것 같습니다.  이 기사를 접하면서 다시 한번 이박사님께
존경과 감사함을 그리고 뉴스타트를 위해 애쓰시는 여러분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59 Re..대만에서 이상구 박사님께 관리자 2004.06.29 1483
3658 Re..대체의학에는 기의 심오한 과학이 담겨져 있다. 이권배 2001.05.04 1852
3657 Re..대체의학에는 기의 심오한 과학이 담겨져 있다. 관리자 2001.05.03 2201
3656 Re..덕분에..감사드립니다. 써니 2004.03.30 1332
3655 Re..돈 때문에 생명을 포기하는 사람들 관리자 2001.12.10 2014
3654 Re..동영상 프로그램이 뜨지를 않어요? 관리자 2001.05.06 2149
3653 Re..동영상에 혹시 짝사랑 귀신이 찰딱 붇어 있나봐요? 관리자 2001.05.08 2401
3652 Re..동영상이 하나도 클릭이 되지않아요~ 관리자 2003.09.30 1484
3651 Re..또 감사합니다 관리자 2003.03.11 1654
3650 Re..또 만나게 되어 반갑습니다 차영철 2003.07.23 1483
3649 Re..림프성 백혈병 환자를 위한 요양원 소개좀요 유제명 2001.04.17 2972
3648 Re..마음 따뜻한 이... 김유묵 2001.08.27 1681
3647 Re..마음은 늘 그곳에~ 정광호 2003.01.03 1779
3646 Re..먹는물의 온도에 관하여 질문.. 답변 부탁드립니다 관리자 2002.09.22 2084
3645 Re..명상에 잠기면서.... 산지기 2004.05.03 1473
3644 Re..명주누나 소식 아시는 분 조은희 2001.08.19 1982
3643 Re..모니카만? 누나 2003.05.12 1483
3642 Re..모니터결과 김철우 2002.11.01 1507
3641 Re..모든 질병은 유전자의 변질입니까? 관리자 2002.12.26 1664
3640 Re..모든 질병은 유전자의 변질입니까? 알고파 2002.12.25 1575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14 Next
/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