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조회 수 95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목사님의 글을 통해 드러난 신학적 열정과 진리를 수호하고자 하는 마음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동시에, 위의 글이 성소 제도의 해석에 있어 복음의 본질에서 얼마나 치명적인 이탈을 드러내는지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본 비평은 그리스도인의 사랑과 존중을 바탕으로 하되, 십자가 복음의 관점에서 철저하게 성경적, 신학적으로 검토하고자 합니다.
 

1. 성소 봉사의 중심은 "사건"이 아니라 "인격"입니다

목사님은 성소 봉사를 해석하면서 “매일의 봉사 = 십자가, 연례 봉사 = 하늘 성소의 심판”이라는 도식으로 설명하셨습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성소를 하나의 제도적 그림이나 절차표로 축소시킵니다. 성경이 성소를 통해 보여주려는 것은 단순한 시간표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라는 인격 그 자체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형상”이시며, 제사장의 옷을 입은 모습, 지성소 안의 언약궤, 번제단의 희생, 이 모든 것들이 가리키던 실체이십니다. 다시 말해, 성소의 중심은 공간이나 사건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입니다.

하나님의 임재는 성소 건물 안에 갇혀 있지 않았습니다. 성경은 이미 성소의 가장 바깥, 곧 죄인이 양에게 안수하며 자신의 죄를 고백하던 번제단에서조차 하나님의 임재가 시작됨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죄인의 가장 더러운 자리에서부터 함께하시며, 그 임재의 길을 성소 전체를 통해 열어 가셨습니다.

그리고 그 임재의 절정은 예수께서 십자가 위에서 버림받으신 순간에 드러났습니다. 그때 성소의 휘장이 찢어지며(마 27:51), 하나님이 더 이상 제도와 구획 안에 머무시지 않고, 십자가에서 자신을 완전히 열어젖히셨음을 선포하신 것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상징이 아닙니다. 하나님이 이제 더 이상 제도 속에 갇히지 않고, 십자가에서 자신을 온전히 열어젖히셨다는 선언입니다. 지성소 안에서만 만날 수 있었던 거룩하신 분이, 이제 죄인의 한복판, 세상의 한가운데서 십자가로 드러나신 것입니다.

성소의 중심은 절차가 아니라, 예수님 그분 자신입니다.
그분의 인격이 곧 성소이며, 그분의 죽음과 부활이 성소 전체를 완성하신 사건입니다.
 

2. '완전한 구원'을 '부분적 구속'으로 축소시키는 재림교 해석
 
목사님의 글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십자가에서 인간의 구속은 완성되었지만, 죄의 원흉 사탄이 제거되기 전까지 구속은 완성될 수 없다." 이는 심각한 오류입니다. 성경은 십자가를 구속의 '시작점'이 아닌 '완결점'으로 선포합니다.
 
히브리서 10장은 선언합니다:
 
"그가 거룩하게 된 자들을 한 번의 제사로 영원히 온전하게 하셨느니라" (히 10:14)
 
예수님의 십자가는 단지 매일의 봉사에 해당하는 부분적 은혜가 아니라, 죄를 단번에 도말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완전하게 계시한 사건입니다. 그 피는 성소 휘장에 뿌려질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 휘장이 그분의 육체로 찢겼기 때문입니다(히 10:19–20). 이제 성소는 더 이상 지성소-성소-뜰로 나뉘지 않습니다. 예수 그리스도 그분이 성소이며, 그분의 죽음이 바로 모든 속죄를 영원히 성취한 것입니다.
 
재림교회는 그 위대한 사건을 단지 '구속의 조건 충족'으로만 이해하고, 여전히 남은 심판적 절차를 통해서만 구속이 완성된다고 주장합니다. 이것은 십자가의 복음을 은연중에 '불충분'한 것으로 격하시키며, 다시 의인의 행위나 사단의 제거라는 외부적 사건에 구속의 완성을 위탁하게 만듭니다. 이는 바울이 로마서 3장–8장에서 통렬히 비판했던 율법주의의 현대적 변형입니다.
 
 
3. 연례 봉사의 중심은 사단의 제거가 아니라 "하나님의 자기비움"입니다
 
목사님의 해석은 아사셀 염소를 사탄으로 보고, 그에게 모든 죄의 책임을 전가하는 데 무게를 둡니다. 그러나 이 해석은 극단적인 이원론(dualism)을 조장하며, 복음의 본질을 훼손합니다. 성경 어디에도 죄의 책임을 사탄이 짊어진다고 선언한 구절은 없습니다. 오히려 다음과 같이 말씀합니다: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벧전 2:24)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이 죄를 짊어지셨고, 그 죄의 종말은 십자가에서 이미 심판되었습니다"
(골 2:14–15).
 
아사셀 염소를 사단으로 해석하는 전통은 제2성전기 외경에서나 나오는 사상이며, 십자가 중심 계시론과 양립할 수 없습니다. 성경은 죄의 책임이 사단에게 넘어가는 형식을 취하지 않습니다. 사단은 유혹자이지, 대속자가 아닙니다. 사단의 멸망은 구속의 과정이 아니라, 복음이 이미 성취된 이후 하나님 나라의 공의가 드러나는 하나의 결과일 뿐입니다.
 
 
4. 이상구 박사의 복음 이해 – 개인적 구원의 본질에 충실하다
 
이상구 박사는 끊임없이 주장합니다: "십자가 외에 다른 구원의 조건은 없다." 이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성경의 심장입니다.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서에서, 또 로마서 3장에서 피를 토하듯 외쳤던 복음의 선언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아나니..." (갈 2:16)
 
이상구 박사의 복음 이해는 철저히 이 선언에 입각해 있습니다. 그는 십자가의 은혜가 인간의 어떤 노력이나 추가 절차에 의해 보충되어야 한다는 식의 교리를 거부합니다. 이는 매우 성경적이며, 한국 교회가 오랫동안 상실해온 복음의 중심 회복에 큰 기여를 해온 점입니다.
 
목사님은 이를 두고 "그의 복음은 성소의 절반 이해"라고 하셨습니다. 과연 그런가요? 아니면, 복음 자체를 제도화하고 시간표로 나누려는 시도야말로 오히려 성소의 목적을 절반으로 축소시키는 것 아닐까요?
 
 
5. 성소 해석을 통한 복음의 이해는 십자가를 흐릴 수 있다
 
목사님은 반복적으로 "성소 전 구획이 복음의 청사진"이라 말합니다. 그러나 그 성소는 "실체의 그림자"(히 10:1)일 뿐이며, 실체는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성소 중심 해석이 복음을 돕는 선에서 멈춘다면 유익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복음의 중심 자리를 대신하려 하면, 성소는 다시 휘장이 닫힌 제도적 감옥이 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새로운 성소입니다. 그분은 성소의 그림자들을 통해 자신을 미리 계시하신 것이며, 그 실체가 오셨기에 더 이상 그림자에 얽매이지 않아야 합니다. 신약 성도는 하늘 성소를 의식하며 사는 사람들이 아니라, 하늘 성소 그 자체이신 그리스도와 연합된 자들입니다(엡 2:6, 골 3:1–4).
 
 
6. 진정한 우주적 구속은 사랑의 생명력으로 확산된다
 
목사님은 구속을 "쓰레기 수거의 과정"에 비유하며, 죄의 찌꺼기를 마지막까지 정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비유는 좋지만, 문제는 복음의 생명력을 '제거 절차'로 환원시키는 위험에 있습니다.
 
복음은 더럽혀진 것을 치우는 힘이 아니라, 죽은 것을 살리는 능력입니다. 예수의 피는 더러움을 제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죽은 자를 살리기 위해 흘려졌습니다(엡 2:5–6). 이 생명은 사단이 제거되어야만 비로소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사단의 한가운데서도 능력으로 살아 역사합니다. 그것이 바로 십자가의 승리입니다.
 
 
7. 재림교회의 공로가 있다면, 복음을 더 풍성히 하는 방향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목사님은 재림교회의 해석이 우주적 구속의 청사진을 드러냈다고 하십니다. 맞습니다. 그 부분은 존중받아 마땅합니다. 그러나 그 해석이 십자가 복음의 단순함을 오히려 덮어버리는 순간, 그것은 축복이 아니라 짐이 됩니다. 구속의 청사진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완성되었고, 성소 제도의 모든 예표는 오직 그분 안에서 의미를 갖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구속의 우주적 관점을 설명하되, 십자가에 계시된 하나님의 사랑이 중심이고 전부임을 한순간도 잊지 않아야 합니다. 모든 구조, 모든 시간표, 모든 제도는 하나님의 사랑을 계시하는 도구일 뿐이며, 그 도구가 복음의 본질을 대체해서는 안 됩니다.
 
이상구 박사는 십자가 복음을 단순하게 붙들었습니다. 단순함은 결코 얕음이 아닙니다. 오히려 복음의 깊이는 그 단순함에서 출발합니다. 재림교회의 해석이 그 단순함을 더 풍성히 하는 방향으로 사용될 때, 그것은 교회를 살리는 해석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복음의 중심을 흐리는 방향으로 작동한다면, 그것은 아무리 정교해 보여도 인간의 시스템에 불과합니다.
 
기도하겠습니다. 이 논의가 단순한 논쟁으로 끝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 드러난 하나님의 사랑을 더 깊이 아는 계기가 되기를. 그리고 그 사랑이 우리 안에, 우리 교회 안에, 그리고 이 시대의 혼란 속에 새 생명으로 다시 피어나기를.

  • ?
    벚꽃향기 2025.05.28 17:41

    위의 본문은, 어떤 목사님께서 본인의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하신 이상구 박사님의 2300주야와 조사심판 이해에 대한 비판글에 대해 작성한 반론 글입니다.

  • profile
    이상구 2025.05.29 00:08
    옛날에 한국에 자동차의 실물(그리스도)이 없으면
    아쉽지만 자동차 모형(성소)을 만들어 자동차에 대하여 가르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그 성소(모형)로는 그리스도(실물 자동차)를 완전히 가르칠 수 없었었습니다.
    마침내 실물 그리스도께서 오셨습니다.
    제한된 시간, 3년 반, 그리고 제한된 공간을 함께 하시다가 가셨습니다.
    그 동안 제자들은 모형으로, 제사법(율법)으로 배운 것 보다
    모형으로는 도저히 배울 수 없었던 그 엄청난 사랑과 복음의 진실을
    모형이 아닌 실체, 곧 그리스도 자신과 생활을 통하여 더 깊이 배웠습니다.

    어린 양(모형)과는 전혀 할 수 없었던 체험을 했습니다.
    어린 양은 병자를 구칠 수도, 5천명을 먹일 수도, 나사로를 살릴 수도 없었습니다.
    모형으로는 보여 줄 수 없었던 것을 어린 양의 실체이신 실물 그리스도께서 실제로 보여 주셨습니다.

    그런데
    실물 다음에 그리스도를 더 깊이 알가 위하여 모형으로 돌아가야 한다구요?????

    예수님은 떠나실 때 즈음해서
    제자들에서 아직도 더 가르쳐 주실 것이 있지만
    아직도 그들이 영적으로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상태라
    아버지께 가시면 보혜사 성령을 보내시어 계속 더 깊은 진리들,
    모형(성소)로는 배울 수 없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생명의 복음의 진리를 가르치실 것을
    다음과 같이 약속하셔야 했습니다.

    요16:12 아직도 내가 너희에게 할 말이 많으나, 너희가 지금은 감당하지 못한다.

    요16:13 그러나 그분 곧 진리의 영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실 것이다. 그는 자기 마음대로 말씀하지 않으시고, 듣는 것만 일어주실 것이요, 앞으로 올 일들을 너희에게 알려 주실 것이다.

    요16:14 또 그는 나를 영광되게 하실 것이다. 그가 나의 것을 받아서, 너희에게 알려 주실 것이기 때문이다.

    모형, 곧 성소(율법)은 죄인을 그리스도께(실물)로 인도하는 몽학선생일 뿐입니다.
    실물을 믿음으로 받아들인 자들은

    갈3:24 이같이 율법(모형,성소)이 우리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몽학선생(초등교사)이 되어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

    갈3:25 믿음이 온 후로는 우리가 몽학선생 아래 있지 아니하도다. - 모형 성소는 필요가 없다.

    우리 모두가 앞으로 향하여 가야할 길은
    (1)모형(성소)에서 시작하여 - (2)실물로 - 실물에서 - (3)성령으로 가야한다.

    십자가 후에 다시 성소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가신 그리스도께서 보내신 성령을 거부하는 행위이다.
    성령을 거부하는 자들은 어느 특정한 교단에만 어느 특정한 인간(교주)를 통하여만 주신,
    소위 "예의의 신" 성령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 결과 시간과 공간, 민족과 교단을 초월하여 사랑으로 역사하시는 성령,
    그리스도께서 친히 모든 죄인들에게 보내시는 보혜사 성령을 받아들이지 않은 자들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10 왜곡된 계시, 그러나 포기하지 않으신 사랑 1 벚꽃향기 2025.06.05 797
» 복음은 완성되었다: 그림자를 벗고 십자가로 2 벚꽃향기 2025.05.28 954
4308 인생경험글 이력서가 들어있는 블로그글 소개합니다 다이아몬드 2025.05.28 748
4307 성경이 해석자가 될 때 벌어지는 무서운 일들 1 벚꽃향기 2025.05.26 1064
4306 신랑의 고백 앞에서 신부가 무너지는 순간 1 벚꽃향기 2025.05.25 891
4305 좋은 글들이 많네요. 많이 배움니다. 이한국 2025.05.23 781
4304 구원받은 자의 품성은 완전하지 않다: 로마서 7장과 성화의 신학 1 벚꽃향기 2025.05.23 867
4303 율법을 넘어서 사랑으로 1 벚꽃향기 2025.05.15 924
4302 가입인사드려요~ 1 이한국 2025.05.13 849
4301 못 말리는 종문이 1 벚꽃향기 2025.05.12 886
4300 무너지는 짐승들, 세워지는 어린양의 나라 2 벚꽃향기 2025.05.11 885
4299 판단에서 사랑으로 1 벚꽃향기 2025.05.07 1068
4298 주여, 주께서 누구신지를 이제야 보았습니다 2 벚꽃향기 2025.05.05 1087
4297 2300주야, 어린양의 계시로 다시 읽다 :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드러난 성소 정결 2 벚꽃향기 2025.05.04 1146
4296 문의 박지연 2025.05.03 847
4295 아래 truth4us님께 드리는 편지 1 벚꽃향기 2025.04.22 1001
4294 안녕하세요 1 이희진 2025.04.22 935
4293 안녕하세요, 한가지만 더 여쭤볼게있습니다. (포도원비유와 고린도전서 3장의 비교) 2 행복해지기를 2025.04.16 1050
4292 박사님께 배운 성경의 우주통일을 GPT에게 물어봤떠니..(feat.엘린지화잇) 1 행복해지기를 2025.04.10 987
4291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지우123 2025.03.04 87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8 Next
/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