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인이야기 : "너 어디에서 왔니" 베스트셀러 한국인 이야기: 탄생
★저자:  이어령    출판:  파람북  |  2020.2.12.
99BAE74A5E7192A40D9F20
★책소개
「한국인 이야기」는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이후, 60년 동안 쉼 없이 지성계에 파문을 일으키고 한국 사회를 일깨워온 지적 편력의 대미를 장식하게 될 시리즈이다. 저자는 올해로 88세에 접어들었다. ‘한국인 이야기’가 77세이던 2009년에 시작되었으니, 그 첫 권인 ‘탄생’ 편 《너 어디에서 왔니》가 출간되기까지 10년의 세월이 지났다. 희수(喜壽, 77세)에 잉태되어 미수(米壽, 88세)에 늦둥이를 본 셈이다. 그 10년 동안 무리한 집필로 머리 수술을 받았고, 암을 선고받아 또 두 차례 큰 수술이 있었다. 그야말로 혹독한 산고 끝에 이루어진 ‘탄생’의 탄생이다.


한국인 이야기는 역사에 등장하지 않는 ‘나’의 이야기, ‘너’의 이야기이며 ‘우리’들의 이야기다. 그의 이야기, 저들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로마인 이야기를 읽었어도, 한국인 이야기를 읽은 한국인은 없다. 아라비아에는 천하루 밤 동안 이어지는 아라비아의 이야기가 있고, 한국에는 밤마다 끝도 없이 이어지던 한국의 이야기가 있다.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지팡이를 짚고 꼬부랑 고개를 넘다가 꼬부랑 강아지를 만나…. 한국인의 몸에는 세계의 어느 곳에서도 듣기 힘든 꼬부랑 할머니 이야기의 유전자가 있다. 밑도 끝도 없이 꼬불꼬불 이어지던 그 이야기들 속에 한국인의 집단 기억과 문화적 원형이 담겨 있다. 저자가 현재를 살아갈 우리에게, 미래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들려주려는 이야기도 그 꼬부랑 할머니 같은 이야기다. 이 책의 구조가 열두 고개로 되어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저자
이어령
이어령 평론가, 전 장관

따를 자 없는 달변가, 파격적인 문학평론가, 문학 출판사의 주간, 대학교수,

당대의 문장가 그리고 88 올림픽을 통해 전세계에 우리 문화를 과시한

초대 문화부 장관. 이어령을 수식하는 말은 이처럼 다양하다.

그는 자신이 곧 문화코드로 작용할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연줄을 만들고 남을 지배하는 것을 혐오하여 값싼 패거리주의에 빠지지 않은

유일한 지식인이기도 하다.

서울대 문과 시절, 교수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며 이미 여러 강연회에 불려

다니던 그가 이제는 전설적인 제목이 된 '우상의 파괴'로 문단에 등장하여

파란을 일으킨 것은 고작 24세였다. "

'우상의 파괴' 읽어봤나?"라는 말이 인사말로 통할 지경이었다니 그 여파를

짐작할 만하다. 그러던 그는 '흙 속에 저 바람 속에'를 일간지에 발표하면서

최초로 한국 문화를 제대로 분석해 냈다고 평가받아 독보적인 위상을 획득했다.

그리고 40대에는 '축소 지향의 일본인'를 일본에서 출간하여 미국 등 세계에

소개되기도 했다. 지금까지 문학, 어학, 풍속학, 문화분석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면서도 이렇다 할 도전을 받아본 적이 없다.

 
목차

이야기 속으로: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고개를 넘는 이야기

1. 태명 고개: 생명의 문을 여는 암호
첫째 꼬부랑길: 쑥쑥이 말문을 열다
둘째 꼬부랑길: 태명, 또 하나의 한류
셋째 꼬부랑길: 이름으로 영혼을 춤추게 하라
넷째 꼬부랑길: 이야기로 시작하는 생명

2. 배내 고개: 어머니의 몸 안에 바다가 있었네
첫째 꼬부랑길: 나는 한 살 때에 났다
둘째 꼬부랑길: 어머니의 바다 이야기
셋째 꼬부랑길: 화이트 하트, 초음파의 발견
넷째 꼬부랑길: 태동, 발의 반란

3. 출산 고개: 이 황홀한 고통
첫째 꼬부랑길: 어머니와 미역국
둘째 꼬부랑길: 산고의 의미, 호모 파티엔스
셋째 꼬부랑길: 왜 귀빠진 날인가?
넷째 꼬부랑길: 나를 지켜준 시간의 네 기둥

4. 삼신 고개: 생명의 손도장을 찍은 여신
첫째 꼬부랑길: 삼신할미의 은가위
둘째 꼬부랑길: 지워진 초원, 몽고반점
셋째 꼬부랑길: 삼가르고 배꼽 떼기
넷째 꼬부랑길: ‘맘마’ ‘지지’와 젖떼기
다섯째 꼬부랑길: ‘쉬쉬’ ‘응가’와 기저귀 떼기

5. 기저귀 고개: 하나의 천이 만들어낸 두 문명
첫째 꼬부랑길: 기저귀를 모르는 한국인
둘째 꼬부랑길: 냉전의 깃발 서양 기저귀
셋째 꼬부랑길: 기저귀 없는 세상

6. 어부바 고개: 업고 업히는 세상 이야기
첫째 꼬부랑길: 스와들과 배내옷
둘째 꼬부랑길: 포대기는 한류다
셋째 꼬부랑길: 어깨너머로 본 세상

7. 옹알이 고개: 배냇말을 하는 우주인
첫째 꼬부랑길: 환한 밥 깜깜한 밥
둘째 꼬부랑길: 공당과 아리랑
셋째 꼬부랑길: 너희들이 물불을 아느냐

8. 돌잡이 고개: 돌잡이는 꿈잡이
첫째 꼬부랑길: 따로 서는 아이, 보행기에 갇힌 아이
둘째 꼬부랑길: 네 손으로 운명을 잡아라
셋째 꼬부랑길: 달라지는 돌상 삼국지

9. 세 살 고개: 공자님의 삼 년 이야기
첫째 꼬부랑길: 숫자 셋의 마법
둘째 꼬부랑길: 우리 아기 몇 살
셋째 꼬부랑길: 세살마을로 가는 길

10. 나들이 고개: 집을 나가야 크는 아이
첫째 꼬부랑길: 자장가의 끝 일어나거라
둘째 꼬부랑길: 외갓집으로 가는 길
셋째 꼬부랑길: 달래마늘의 향기

11. 호미 고개: 호미냐 도끼냐, 어디로 가나
첫째 꼬부랑길: 빼앗긴 들에도
둘째 꼬부랑길: 격물치지의 호미
셋째 꼬부랑길: 호미보다 도끼
넷째 꼬부랑길: 아버지 없는 사회

12. 이야기 고개: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
첫째 꼬부랑길: 옛날 옛적 갓날 갓적에 ...

둘째 꼬부랑길: 꼬부랑 할머니와 꼬부랑길 찾기
셋째 꼬부랑길: 직선과 곡선
꼬부랑길 4: 이야기의 힘

이야기 밖으로: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고개를 넘는 이야기
Q&A 저자와의 대화: ‘한국인 이야기’는 어떻게 탄생되었는가

 
책 속으로
세상이 골백번 변해도 한국인에게는 꼬부랑 고개, 아리랑 고개 같은 이야기의
피가 가슴속에 흐르는 이유입니다. 천하루 밤을 지새우면 아라비아의 밤과
그 많던 이야기는 언젠가 끝납니다. 하지만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꼬부랑
할머니의 열두 고개는 끝이 없습니다. 밤마다 이불을 펴고 덮어주듯이
아이들의 잠자리에서 끝없이 되풀이될 것입니다. 그것은 망각이며 시작입니다.
- 〈이야기를 시작하며〉 중에서

모태의 세계를 향해 청진기처럼 귀를 대면 아주 먼 곳에서 들려오는 폭포수
같은 소리, 미세한 혈관을 타고 힘차게 흐르는 배내 아이의 이야기 소리가 들린다.
한때 우리가 자궁벽에 붙어 발아하던 최초의 땅, 신열 같은 생명 기억이 깨어난다.
한 번도 듣지 못한 옛이야기가, 그리고 아직 쓰여지지 않은 미래의 동화와
대서사시가 열릴 것이다.
- 〈1. 태명 고개〉 중에서

나는 그곳에 있었다. 태고의 바다, 어머니의 양수 속은 어둡지만 참으로
고요하고 아늑했을 것이다. 하루에 1밀리씩 자란다는 수정란의 플랑크톤
같은 미생물에서 아가미와 지느러미가 달린 물고기 모양으로 변해간다.
지구 생물의 진화 과정으로 본다면 10억 년의 세월이 지나간 셈이다.
- 〈2. 배내 고개〉 중에서

나의 생일날은 내가 선택한 가장 성스러운 날이며, 그것은 바다를 떠나
육지로 상륙한 고난의 기념일이다. 나는 그날 육지를 향해 단신 포복하면서
숨이 막힐 때까지 앞으로 앞으로 전진한다. 엄청난 고통의 터널 끝에 빛이
보이기 시작한다. 물에서 뭍으로 올라오는 순간 막혔던 숨통이 뚫리는 소리가 난다.
- 3. 출산 고개 중에서

우리는 한동안 엄마 배 속에서 아무 탈 없이 잘 지냈다. 모든 게 탯줄 하나로
이어진 세상. 그 편하고 정든 곳을 어찌 쉽게 떠날 수 있었겠는가.
더구나 회자정리. 만남이 있고 나서야 이별이 있는 게 세상 이치가 아닌가.
그러니 만나는 기쁨보다 슬픔을 먼저 알고 시작보다 끝이 앞서는 게 출생의
부조리극일 수밖에 없다. 그것도 혼자서 하는 모노드라마인 게다.
- 4. 삼신 고개 중에서

사람들의 일생을 종교적으로 보면, ‘흙에서 흙으로’이고 사회복지적으로 보면
 ‘요람에서 무덤까지’, 자연 생물학적인 시각에서 보면 ‘자궁에서 무덤까지’다.
하지만 스토리텔링으로 하자면 사람의 일생은 태어날 때의 기저귀 천에서
시작하여 수의의 천으로 끝나는 이야기다. ‘천에서 천으로(Clothes to Clothes)’다.
- 5. 기저귀 고개 중에서

어깨너머로 요리하는 것, 세탁하는 것, 바느질하고 청소하는 어머니의 가사와
집안 구석구석을 다 구경한다. 나들이를 갈 때 바깥 풍경은 기본이요, 동네
아주머니의 얼굴과 목소리도 익힌다. 서양 아기들이 요람에 누운 채 아무것도
없는 천장을 바라볼 때, 우리 아이들은 엄마 등에 업혀 세상을 보고 듣는다.
앞으로 살아갈 세상을 어머니의 어깨너머로 미리 느끼고 배우는 현장 학습이다. ...
- 6. 어부바 고개 중에서

물과 불은 분명히 상극한다. 물은 차갑고 불은 뜨겁다. 물은 하강하고 불은
 거꾸로 상승한다. 그런데 물의 영혼은 반대로 김이 되어 하늘로 승천하고
불의 영혼은 재가 되어 거꾸로 땅속에 묻힌다. 그런데 이렇게 대립하고
갈등하던 물불이 조왕님이 계신 부엌에 들어오면 놀라운 조화의 힘으로
밥을 짓고 국과 찌개를 끓인다. 물과 불이 같이 있으면 상극은 상생으로
변해 맛있는 문명의 밥상이 차려진다.
- 7. 옹알이 고개 중에서

로마 시인 호라티우스는 “현재를 잡아라!”라고 했다. ‘지금 이 순간을 쥐라’는
뜻이다. 우리는 기회를 잡고, 사랑을 잡고 운명을 잡는다. 더 나아가 세계를
잡기도 한다. ‘받는다’는 수동적 의미가 아니라 제 손을 뻗어서 제 손에
넣는 것이 잡는 것이다. 이 세상에서 한국인만큼 잡는 것의 의미를 제대로
아는 민족도 드물다.
- 8. 돌잡이 고개 중에서

서양 아이들이 동전 던지기로 승부를 결정할 때 동쪽 아시아의 아이들은
가위바위보로 내기를 한다. 이항대립이 아니라 삼항순환의 오묘한 사고
체계를 공유하는 거다. 일본 아이들은 동전 던지기처럼 단판으로 하는데
한국의 애들은 보통 삼세판이다.
- 9. 세 살 고개 중에서

나들이! 나가고 들어오는 것이 하나가 되어 마치 살아 있는 생명체처럼
이어가 숨을 쉰다. 한국말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뜻이 깊은 말 하나만
고르라고 하면, 나는 서슴지 않고 이 ‘나들이’라는 말을 고를 것이다.
이것 아니면 저것의 이자택일이 아니라 이자병합의 마술적 힘을 가진
것이 ‘나들이’인 게다.
- 10. 나들이 고개 중에서

아버지 지위의 붕괴와 궤를 같이하여 나타난 것이 프란시스 후쿠야마의
말대로 ‘문명의 대붕괴’ 현상이다. 숭배할 영웅이 없는 시대, 아버지가
더 이상 아이들의 모델이 될 수 없는 ‘아버지 부재의 사회fatherless society’다.
한국식 육두문자로 말하자면 현대인은 모두 ‘아비 없는 후레자식’과 다름없는 셈이다.
- 11. 호미 고개 중에서

‘직선’이란, 어떤 목적을 향해 곧게 그려진 최선의 지름길이다.
 ‘직선’은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신이 아닌 인간에 의해서
처음으로 이 세상에 만들어졌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그냥 인간이 아니라
문명의 본질을 ‘직선’에서 발견한 서양인들이라고 말이다.
한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꼬부랑 고갯길은 인간이 만든 게 아니라
 ‘자연=신’이 만든 길이다.
- 12. 이야기 고개 중에서

현빈玄牝의 현玄은 신비한 것, 우리가 잘 모르는 신비한 것, 그리고 빈牝은
암수라고 할 때의 그 암이니, 현빈의 문門은 여성의 생식, 만물을 낳는
어머니의 자궁인 겁니다. 그 골짜기에서 흐르는 물이 미미하지만 절대로
 끊기지 않는 것처럼 골짜기를 돌아 꼬불꼬불 이어지는 고갯길도 그렇게
 이어질 것입니다. 거기에서 많은 이야기가 태어나는 것이지요.
- 이야기 밖으로 중에서


Q 20대에서 80대에 이르는 60년 동안 100여 권의 책을 저술해오셨지만,
아마 이번처럼 난산을 겪은 적은 없었을 것으로 압니다. 투병 중 진통도
크셨던 것 같고요. 일곱 차례의 수정 보완 끝에 겨우 오늘에서야 빛을
보 게 되었으니 그 소감부터 듣고 싶습니다.
A 4차 수정본 다음부터는 번호도 헷갈려서 파일명을 ‘최종 송고본’
‘진짜 최종 송고본’ ‘진짜, 진짜 마지막 송고본’(웃음), 그래서 현재
내게는 7가지 다른 버전의 파일이 남아 있어요. 문자 그대로 7전 8기입니다.

희수(77세)에 잉태하여 미수(88세)에 늦둥이를 얻은 셈이지요.

아브라함이 86세에 아들을 얻은 것처럼 기쁘고도 민망한 일입니다.

글쎄요. 고통 끝에 얻는 그 ‘황홀한 산통’의 역설을 직접 체험해본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해야 할지.
Q 수술 직전까지 병원에서 최종 원고 작업을 하셨다고 들었습니다.

그렇게 고생하시고도 출판을 계속 미루어 오신 이유는 무엇인지요.
A 남들은 그런 나를 이해하지 못하더군요. 책의 출간이 목적이 아니었지요.

그때 그 글을 쓰고 있지 않았더라면, 어떻게 그 절망과 고통을 견딜 수

있었을까. 지금 생각해도 신기합니다. 사형대에 오르기 전 사형수들은

고개를 들어 하늘을 쳐다본다고 해요. 내가 그랬지요.

왜 《아라비안 나이트》의 셰에라자드 있잖아요. 하루 이야기를

지어내야 하룻밤 목숨을 부지할 수 있는 왕비처럼 무슨 이야기든

해야만 했거든요. 그 자체가 하루하루 살아가는 나의 목숨이었던 거죠.

처음부터 완성할 수 없는 이야기를 시작한 것이라고나 할까요
- Q&A 저자와의 대화: ‘한국인 이야기’는 어떻게 탄생되었는가 중에서

 
출판사서평
생과 죽음이 등을 마주 댄 부조리한 삶. 이것이 내 평생의 화두였으며,
생의 막바지에 이르러 죽음 아닌 ‘탄생’의 이야기를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채집 시대로부터 이어져 온 한국인의 문화 유전자.
우리가 의식하지 못했던 생명 기억과 그 무한한 시원의 에너지가
한류(韓流)의 원동력이며 21세기 생명화 시대의 원동력이다.
비로소 한국인 문화 유전자의 모든 암호가 풀린다!
채집 시대로부터 농경, 산업, 정보화 시대를 넘어가는
거대한 문명의 파도타기!

저자는 삶의 끝자락에서 오히려 ‘탄생’을 이야기한다.

생명을 생각하고 텅 빈 우주를 관찰하면서, 모든 것을 부정해도 살아 있는

자신은 부정할 수가 없으며, 숨을 쉬고 구름을 본다는 건 놀라운 일이라고 한다.

그에게 생명은 소중한 선물 그 자체다.
저자는 죽음을 알려고 하지 말고 내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추적하면, 어머니와 아버지가 만나지 않았더라면,

또 그전의 조부모가 만나지 않았더라면…. 그렇게 계속 거슬러 가면 36억 년 전

진핵 세포가 생겼던 순간까지 간다. 그렇게 계산하면 우리의 나이는 36억 플러스가 된다.


정보화 시대 다음에는 생명화 시대가 온다. 인공지능(AI)이 산업 시대와

연결되면 재앙이지만, 생명화 시대의 기술로 사용되면 달라진다.

인류가 가장 행복한 시대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인적 자본, 사회 자본,

문화 자본, 자연 자본. 그다음에 오는 것이 ‘생명 자본’이다. 한국인에게는

오래전부터 생명 자본의 풍부한 의식과 경험이 있다. 그것을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갖고 살아온 이들이 우리 한국인이다. 아득한 채집 시대로부터

장구하게 이어져 온 문화 유전자, 인류 문명이 태동한 태생기의 기억을

품고 사는 한국의 생활 문화 속에 그것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앨빈 토플러의 오류는 인류 문명의 물결을 농경 시대부터 계산했다는 점이다.

인간 문화, 문명의 텃밭인 수렵채집 시대부터 계산했어야 한다.

거기에 대우주의 생명질서가 녹아 있으며, 인간의 유전자나 두뇌 등 모든

생장의 조건은 수렵채집 시대 때 형성된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정보 문명의

 최첨단을 달리는 이 시대에 채집 문화의 흔적을 가장 많이 지닌 집단이

바로 한국인이라는 것이다.

정보화 시대를 선두에서 이끌어가는 오늘날에도 나물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그 한 예다. 우리는 정보조차도 ‘캔다’라고 말한다.

호미로 나물을 캐던 풍습이 잠재해 있는 것이다. 음식 문화의 본류도

나물 문화다. 일부러 뿌리를 키워 콩나물을 만들고, 심지어 토끼도

안 먹는 콩잎까지도 먹는다.

채집민은 낯선 열매와 풀을 먹기 전 반드시 냄새를 맡고, 혀로 맛보며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정보를 파악했다. 짐승들이 다니는 길,

어디를 가야 먹을 수 있는 열매가 있는지 생사가 걸린 정보 수집

활동을 매일 해야만 했다. 저자는 채집형 한국 문화가 한류(韓流)의

원천...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한 손에 호미를 들고, 다른 손에 최첨단

스마트폰을 든 한국인을 떠올리면 다가올 생명화 시대의 연결고리가 보인다.

한국인의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끝없는 생명과 문화의 순환,
그 시간과 공간의 너울에서 건져낸 낯설고도 친숙한 이야기들.
이제야 우리는 우리의 이야기를 갖게 되었다.

저자는 생명 자본의 시대를 열어가는 한국인의 이야기를 켜켜이 채집하고

드러낸다. 아이의 나이를 셀 때 서양에서는 엄마 배 속에 있는 시간은 치지 않는다.

인간이 만든 문화 문명이 아이를 키운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엄마 배 속에 있을 때 이미 한 살이다. 태아는 자신이 알아서

 태반을 만들고, 호르몬을 분비하고, 필터로 걸러내고, 배 속에서 나갈 때를

결정한다. 인간의 문화는 학습 이전의 상태로, 누가 가르친 게 아니다.

태아에게는 태생기의 거대한 생명 질서, 우리가 모르는 대우주의 생명

질서가 있다. 그러니 태중의 아이를 한 살로 보느냐, 보지 않느냐가 중요하다.

그건 자연과 단절된 문화 문명으로 사느냐, 아니면 대우주의 생명질서를

바탕으로 오늘의 문명과 연결하며 사느냐의 문제다.

한국 사람은 그것을 연결하며 살아왔다고 한다. 아기가 태어나면 우리는

아기를 안고 자며, 포대기로 업고 다닌다. 최대한 엄마와 밀착하게 하기

위해서인데, 이는 엄마 배 속의 환경과 이어주기 위해서다.

산모가 미역국 먹는 나라도 한국뿐이다. 태중의 양수는 바닷물과

성분이 비슷하다. 과학은 생명이 바다에서 육지로 왔다고 말한다.

반면 서양에서는 아기를 낳자마자 요람에서 재운다. 다시 말해 엄마 배 속,

자연과의 단절이다. 한국 문화에는 여성이 물질을 하기 위해 구덕을

사용했던 제주도를 제외하면 그런 요람이 없다. 한국은 요람을 사용하지

않는 거의 유일한 나라이고, 포대기로 업어 기르니 ‘분리 불안’ 같은

말을 모르고 살던 민족이다. 게다가 우리 출산 문화에는 새 생명의

탄생을 돕고 AS(애프터서비스)까지 맡는 삼신할머니라는 ‘생명의 여신’도 있다.

저자는 생명 자본을 깊이 간직했던 한국인의 문화가 한류는 물론이거니와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을 이뤄낸 원동력임을 제기한다. 또한 우리의 ‘막 문화’

 속에 담긴 원초적 생명력의 의미를 파헤침으로써 어떻게 지금의 한국인으로

 이어왔는지 여정을 풀어낸다.
저자는 과거를 알려면 검색하고, 현재를 알려면 사색하고, 미래를 알려면

 탐색하라고 말한 바 있다. 검색은 컴퓨터 기술로, 사색은 명상으로,

탐색은 모험심으로 한다. 이 책은 검색, 사색, 탐색의 삼색이 통합되어

있는 거대한 지적 그물망이다.
지금까지 이렇게 재미있고 독창적이고 설득력 있게 한국인을 이야기한

책은 없다. 한국의 대표 지성이자, 이야기꾼으로 펼쳐내는 한국인

이야기는 우리 한국인을 더욱 깊게 들여다보고, 한국인으로 태어나

한국인으로 되어가는 우리를 긍정하게 해주며, 더 나아가 우리가

생명화 시대의 주역임을 일깨워준다.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시리즈]
시대의 지성에서 이야기꾼으로 풀어낸 새로운 한국인 이야기
한국인은 한국인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으로 되어가는 것이다.

ㆍ 알파고와 함께 춤(가제)
AI 포비아를 AI 필리아로 뒤바꾸는 과학과 마법의 언어. 한국의 미래와

비전을 도출해내는 한국인 이야기.

ㆍ 젓가락의 문화유전자(가제)
쇠젓가락으로 콩을 집어 올리는 유일한 민족, 동양사상과 아시아의

생활양식이 함축된 한국의 젓가락 문화를 통해서 바라본 한국인 이야기.

ㆍ 회색의 교실(가제)
일본 강점기 열두 살 소년의 눈으로 기록한 한국판 《안네의 일기》.

절망과 저항, 격동 속의 서정이 펼쳐지는 한국인 이야기.

- ‘한국인 이야기’ 시리즈는 계속 출간됩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기사]
-전략
시리즈의 후속작으로는 ‘알파고와 함께 춤을’ ‘젓가락의 문화 유전자’
‘회색의 교실’(이상 가제) 등이 준비돼 있다. 이들 책은 올해 안에 출간된다.
이어령은 뒤늦게 하나님을 믿은 것으로도 유명한데, 영성에 관한 내용은
시리즈 마지막 권에 실린다고 한다./2020.2.20 국민일보
  • profile
    영원기쁨감사 2020.03.27 23:37
    암투병중이시만 병원치료를 전혀 안받고 계신
    이어령교수님의 위 신간은
    희수(喜壽, 77세)에 잉태되어 미수(米壽, 88세)에
    하나님 은총속에 탄생된 책이라고 하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종태님의 자연영상 유튜브 채널입니다 1 webmaster 2020.02.09 728
2887 마음먹는대로 변하는 인생 지찬만 2020.05.03 188
2886 뉴스타트 오년, 그 정리 가파 2020.04.25 319
2885 지금 깨달은 것 그 때도 알았더라면 가파 2020.04.23 189
2884 봄비 내리는 날 가파 2020.04.21 171
2883 [신영균배우]당뇨다스리기 50년, 최고 보약은 감사하는 마음 영원기쁨감사 2020.04.08 359
2882 [공감시]무스타파 달랩의 시(챠드 시인) 영원기쁨감사 2020.04.08 199
2881 가끔씩 그대 마음 흔들릴때는 지찬만 2020.04.05 165
2880 60대부부"아직 즐거운 날이 잔뜩 남았습니다" 팔로워 80만명 영원기쁨감사 2020.03.27 276
» [베스트셀러]이어령교수님★한국인이야기- 너 어디에서 왔니 1 영원기쁨감사 2020.03.27 275
2878 행복은 멀리있지않다 지찬만 2020.03.04 188
2877 [컬럼]코로나와 면역력/뉴스타트운동 도움-2020.2.28 영원기쁨감사 2020.02.29 346
2876 [기적의 치유법] 낫는다고 생각하면 낫는다…양자 물리학 법칙 1 영원기쁨감사 2020.02.18 523
2875 글자 한 획의 기적=뉴스타트 1 영원기쁨감사 2020.02.12 336
2874 어김없이 오는 봄-입춘에 문안드립니다 1 영원기쁨감사 2020.02.05 166
2873 지혜로운 삶을 위하여 지찬만 2020.02.01 169
2872 오류, 불신, 불순종에 대한 강박관념 Bear 2020.01.05 525
2871 내가 살아보니까 지찬만 2020.01.01 166
2870 한 해의 마지막에 1 가파 2019.12.31 138
2869 세상을 행복하게 바라보는 마음 지찬만 2019.12.03 180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48 Next
/ 148